트렌트 보고서 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keyword 05 모빌리티

모바일 라이프의 대중화

Mobility 스마트폰은 이제 낯선 기기가 아니다. 사두긴 했지만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막막하던 1년 전과 달리, 사람들은 이제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라이프에 완벽히 적응한 것처럼 보인다.

스마트폰은 이제 낯선 기기가 아니다. 사두긴 했지만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막막하던 1년 전과 달리, 사람들은 이제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라이프에 완전히 적응한 것처럼 보인다. 스마트폰 보급률도 작년에 비해 크게 늘었다. 우리나라 국민 열 명 중 네 명이 이미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태블릿 PC에 대한 관심도 상당하다. “언제나, 어디서나”를 표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여러 어플리케이션과 SNS를 만나 모든 일상 및 대인관계까지도 모바일화하기에 이르렀고, 본격적인 클라우드 시대가 개막되면 한 차원 높은 새로운 세계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대중화… 클라우드 시대도 가까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의 판매량은 지난 10월 말 기준으로 2000만대를 돌파했으며, 2015년에는 4,5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국민 한 사람 당 한 대씩은 가지게 된다는 의미이다. 맥킨지에서 발표한 인터넷사용자(i-Consumer)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조사대상 15개국 중 스마트폰 보급률이 두 번째로 높다. 1위인 미국(42%)에 이어 35%를 기록한 것이다. 엄청난 스마트폰 보급률과 함께, 태블릿 PC에 대한 선호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블릿 PC를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한국 소비자는 전체 응답자의 18%로 이는 미국보다는 2배가 높고, 일본보다는 무려 6배나 높은 수치이다. 한편, 최근 구글과 애플 등 여러 기업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발표하고 있어 여러 디바이스에서 공통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클라우드 시대가 본격화되면 모바일 라이프가 또 한번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부터의 다음뉴스 기사 공급량 차트를 확인해보면, 2010년 하반기에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대한 관심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기사공급량이 정체기에 들어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검색 기록을 분석한 Daum의 트렌드 차트에서는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대신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클라우드에 대한 기사공급량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은 클라우드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단문 SNS 인기

모바일의 발달은 SNS계에 지각변동을 가져왔다. 한국은 여태까지 국내 2500만이 이용하는 싸이월드로 인해,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외국계 SNS들이 기를 펴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격적인 모바일 시대가 개막되자 상황은 달라졌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와 하루를 정리하는 일기장 같던 싸이월드는 PC웹에서는 강세를 보였으나, 모바일 웹에서는 주춤했던 것이다. 언제나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웹에서는 단문으로 즉각 자신의 감정을 배설하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오히려 인기를 얻었다. 특히 페이스북은 한국인 사용자가 2010년 말부터 크게 성장하여 현재 400만 명 이상의 한국인들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다. Daum의 검색트렌드 차트와 페이스북 사용자수 추이를 참고하면, 작년 말까지는 트위터의 인기가 앞섰으나 점차 페이스북의 인기가 상승하여 트위터를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해외에서는 페이스북 가입자 수가 트위터를 앞서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유명 인사들의 가입 영향으로 트위터가 먼저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여왔다. 하지만 작년 말을 기점으로 하여 페이스북을 검색한 사람들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실제로 페이스북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 증가로 지난 3월 페이스북 가입자수가 400만 고지에 먼저 오르며 트위터 가입자수를 역전했다.

기업들 '좋아요(LIKE) 마켓팅' 시동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도 발 빠르게 페이스북 마케팅에 뛰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SNS를 이용하면 소비자들과 즉각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좋아요(Like)’나 ‘공유하기(Share)’버튼을 통해 홍보 글이 급속도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 마케팅의 관건은 페이지를 구독하고 있는 팬의 수이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MBC가 27만명이 넘는 가장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 그룹이 그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2011년 11월 기준)

시간과 공간의 제약 극복

그렇다면, 이처럼 스마트폰과 SNS의 대중화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의 인식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올 해 초, LG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라이프스타일 조사에 따르면 ‘대중교통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라는 문항에 전체의 59%가 긍정 응답을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이 있으면 모르는 곳에서도 답답하지 않다’라는 문항에는 57%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는 스마트폰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과 함께라면 지루한 출근길 대중교통도 게임방이나 영화관이 될 수 있고, 모르는 곳에 가더라도 지리를 아주 잘 알고 있는 가이드가 같이 있는 것처럼 느낀다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인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은 바로 ‘검색’의 영역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궁금한 것은 바로 스마트폰으로 검색한다’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8%가 긍정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어 있는 느낌

각종 모바일 기기로 인한 ‘언제나, 어디서나’ 효과는 단순 정보 검색과 오락을 넘어서 대인관계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SNS 사이트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친구나 지인의 소식을 받아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LG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지인들과 연결된 느낌을 받는다’는 질문에 응답자들의 46%가 긍정 응답을 하였고, 특히 20대는 55%로 가장 높은 긍정응답률을 보였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 후 평소 자주 보지 못한 사람들과의 교류가 활발해졌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전체의 36%이며, 20대의 45%가 긍정 응답을 하였다.

문자 커뮤니케이션 대폭 증가

2000년대 중반, 휴대폰이 대중화되면서 엄지 손가락으로 빠르게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신세대를 가리키는 ‘엄지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이 신세대들은 전화로 30초면 할 수 있는 대화를 문자를 이용해서 끊임없이 주고받는 기이한(?) 행태를 보여 어른들을 놀라게 했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 이러한 문자 커뮤니케이션은 전 세대로 확산되고 있다. 바로 카카오톡, 마이피플, 네이트온 톡 등의 무료 대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문자 커뮤니케이션 앱의 선두주자인 ‘카카오톡’의 가입자는 이미 3000만을 돌파하였으며, 그 뒤를 마이피플과 네이트온 톡 등이 뒤쫓고 있다.

굳이 비싼 돈 내고 전화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무료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니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자대화를 이용하게 되었고, 특히 젊은 세대들은 이에 빨리 적응하였다. 무료일 뿐 아니라 상대방의 상황과 상관없이 하고 싶은 말을 남길 수 있다는 것 또한 문자대화의 큰 장점. 상대방이 응답할 수 있는 상황에서만 소통이 가능하며 각종 예절이 중시되는 전화통화보다 훨씬 편하다.

LG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전화 거는 것보다 문자나 SNS로 대화하는 것이 더 편하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전체의 39%나 되며 그 중에서도 10대와 20대 젊은 층은 그 비율이 42%에 달한다.

정보 강박증과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하지만 모바일기기가 가져다 주는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으로 인한 새로운 생활방식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도 존재한다. 첫째, 스마트폰이 오프라인 인간관계의 단절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6%가 스마트폰 때문에 대화에 집중을 못해 다툰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LG경제연구원의 조사에서도 스마트폰 때문에 가족과 멀어졌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상당수를 기록했다.
둘째,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스마트폰 중독률을 조사하였는데, 우리나라 국민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11.1%로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다른 조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61.5%가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셋째, 스마트폰으로 인해 깊은 사고와 생각이 힘들게 되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스마트폰은 검색을 편리하게 하고 각종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우리의 생활을 ‘스마트’하게 만들어준 것 같지만 사실은 그게 아니라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알아서 해결해주니, 외부 기억장치 의존도가 높아지고 우리 자신이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의 저자 니콜라스 카는 “사고의 도구들은 확장되나 그 대가로 우리의 자연스러운 능력들 중 가장 사적이고 인간적인 것들, 즉 이성과 인식, 기억, 감정 등은 마비된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