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은 다음커뮤니케이션과 공동으로 ‘미디어 소비를 통해 본 한국인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의 뉴스 클릭 수에 기반한 뉴스 소비 데이터 및 다음 검색 창을 통한 검색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올해의 소비 키워드’ 등 소비 트렌드를 연구한 유사 연구와는 다른 차별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뉴스 및 검색 데이터 등 미디어 소비 행태를 통해 소비자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터넷은 이제 사람들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 최근 스마트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사람들의 이동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고 관심 있는 뉴스 기사나 주제에 대해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이러한 관심은, 실제 삶의 방식 즉 라이프스타일로 이어지고 있다. 뉴스 및 검색 데이터 분석, 즉 미디어 스캔 분석은 소비자 연구의 중요한 방법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트렌드 파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시계열 검색 추이에 근거한 ‘트렌드 차트’를 보여주고 있다. 트렌드는 일시적 유행인 패드(Fad)와는 달리 그 추세가 지속적이다. 하지만 트렌드를 규명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경우 트렌드와 패드를 구분하지 않고 트렌드로 통칭해서 말한다. 트렌드 차트를 통해 어떠한 키워드의 검색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파악한다면, 이러한 키워드는 트렌드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파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이 과연 어떠한 것들에 관심을 가졌는가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 관심 사항에 대한 정보는 소비자의 라이스타일을 이해하는 핵심 자료다. 더불어 오피니언 리더 인터뷰를 수행하여 키워드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맵(map)이라는 정교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특정 키워드를 검색한 사람들의 연관 검색어로 맵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위 검색어와 이에 연관된 검색어의 클릭수 분석을 통해 어떤 연관 검색어가 상위 검색어와 가장 가까운지 두 검색어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키워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업들은 고객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아직도 적지 않은 기업들이 제품 사용과 태도 연구 중심의 소비자 연구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고객 통찰은 제품 사용 관련 소비자 정보에서 나오기 어렵다. 본 연구는 제품 관점을 탈피하여 소비자의 삶 그 자체를 탐구하고자 노력하였다.